
교과목안내
스포츠마사지 (sports massage)
체육 활동 시 발생되는 근육, 관절의 이상을 맨손으로 회복시키는 수기법을 다룬다.
구급및응급처치 (fist-aid and EMS)
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와 체육활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상해에 대비하여 안전에 대한 조치법과 응급처치 요령을 익힌다.
트레이닝방법론 (Methodology of training)
트레이닝 방법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강의하고. 스포츠의 과학적 방법을 실습한다.
스포츠사회학 (Sociology of Sports)
스포츠 사회학의 일반이론과 본질을 이해하고 현대 사회와 관련된 스포츠의 제반 문제를 파악함으로써 인간사회의 연속 변화와 스포츠의 가치에 대해서 터득하게 한다.
전공실무연수 (field experience)
학생 개개인의 선택에 딸 지정된 각종 사회체육 단체에서 실제적인 지도와 실무를 경험하게 되는데 현장 실습은 개개인의 전공영역 선택과 사회진출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게 한다.
최면심리학 (Pypmosis psycholigy)
암시ㆍ최면등을 통하여 심리적 문제와 신체적 문제를 개선하여 경기력을 높히고 승리로 이끈다.
스포츠심리학 (Sports Psychology)
스포츠 현장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심리적 기전을 조사, 분석하여 운동기능 및 기록을 향상할 수 있는 심리적 요인을 연구한다.
종합무도마케팅 (Martial Arts Marketing)
무도 도장과 경기와 무도관련 사업이 앞으로 상당히 커지고, 거기에 따른 많은 전문성을 요하는 시대다. 외국의 무도관련 사업이나 이종격투기선수의 스타마케팅은 상상을 뛰어넘을 정도로 거대해지고 있다. 이제는 전문적으로 무도마케팅이 필요한 시대다. 무도관련 사업과 경기사업과 무도스포츠의 스타마케팅에 대하여 공부한다.
종합이종격투기 (Mixed Martial ArtsⅠ~Ⅲ)
유술, 코만도삼보, 무에타이, 킥복싱, 복싱 등의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실전은 물론 무술의 고유성을 습득 발전시킨다.
복싱 (boxing)
두 사람의 경기자가 양손에 글러브를 끼고 링 위에서 서로 상대를 치는 경기. 권투라고도 한다. 상대를 녹아웃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녹아웃이 되지 않는 경우는 득점으로 승패를 정한다.
레슬링 (wrestling)
투기(鬪技)의 한 종목. 레슬(wrestle)이라는 동사는 고대 영어의 wrstlian(비틀다)에서 유래하며 넓은 뜻으로는 <붙잡고넘어뜨리는 경기>를 의미한다. 〔역사〕 레슬링은 유사 이전 에도 들짐승의 포획기술, 그 밖의 수단으로 이용되는 등, 그 발상은 멀리 문명의 기원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무에타이 (Muaythai)Ⅰ,Ⅱ
태국의 오래된 군사무술 지도서인 '유타삿'이라는 책에서 유래 했다는 설이 유력하며, 창과 칼, 전쟁용 도끼, 방패, 몽둥이 등을 이용한 전투 방법이 나와 있고, 전장에서 무기를 잃었을 경우 백병전으로 싸울 수 있는 맨손 격투술이 수록
주짓수 (Jiujitsu)Ⅰ,Ⅱ
일본 유술을 보다 합리적이고 세련되게 다듬어 체계화시킨 것이 브라질 유술이라고 한다.
용무도 (Yongmoodo) Ⅰ,Ⅱ
실전무술로 용인대가 중심으로 만들었으며, 태권도, 합기도 , 씨름, 검도, 유도등의 기존 무술 및 호신술의 장점만을 뽑아 경기화 한 한국무술이다.
유도 (Judo) Ⅰ,Ⅱ. lll
유도의 역사, 경기방법, 경기규칙, 경기 기술의 단계별로 배운다
극진공수도 (Kyokushin karate)
극진공수도의 경기방법, 심판법, 기술 등을 배운다.
운동생리학 (Exercise Phygiology)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운동시 신체의 적응과 양적 질적 변화에 대하여 강의 한다.
하계훈련 (Summer training) Ⅰ,Ⅱ
수상스키를 중심으로 각종 수상스포츠에 대한 이해와 기능을 향상시키고 지도능력을 배양한다.
동계훈련 (Winter training) Ⅰ,Ⅱ
스키의 역사, 경기규칙, 경기방법, 용어 등을 이해하고 기초 기술부터 단계적으로 배운다.
교양체육 (Culture physical Education) Ⅰ,Ⅱ
골프의 역사, 경기규칙, 경기방법, 용어 등을 이해하고 기초 기술부터 단계적으로 배운다.
건강관리 (Health Care)
운동의 개념 및 스포츠의 기초적인 문제와 각 종목별 신체 활동에 관한 전반적인 강의를 한다.
진로상담 (Career Counse)
학생들의 취업과 편입에 대하여 상담한다.
카이로프랙틱 (Chiropractic) l, ll
신경-근육-골격 체계의 장애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진단, 치료, 예방하는 데 관심을 두는 의료 분야로서 수기치료법이 강조된다. 주로 척추를 중심으로 골격과 근육을 신경계와 연계하여 병을 진단하고 치료방법을 배운다.
체육관경영론 (Martial Arts Marketing)
무도 도장과 경기와 무도관련 사업이 앞으로 상당히 커지고, 거 기에 따른 많은 전문성을 요하는 시대다. 외국의 무도관련 사업이나 이종격투기선수의 스타마케팅은 상상을 뛰어넘을 정도로 대해지고 있다. 이제는 전문적으로 무도마케팅이 필요한 시대다. 무도관련 사업과 경기사업과 무도스포츠의 스타마케팅에 대하여 공부한다.
골프기초실기 (Basic Golf)
이론 및 실기를 통한 골프스윙의 기초를 만들고 상급자 및 프로선수가 되기 위한 기초를 다지는 과정이다. 이 과정을 통해 보다 완벽한 골프스윙에 접근한다.
승마 (Horse riding)
고급스포츠인 승마의 기초를 배우고 체육인으로서 보다 나은 교양을 쌓기 위한 과정이다.
배드민턴 (Badminton)
생활체육 대표종목인 배드민턴 경기 실습을 통한 이해와 함께 배드민턴 지도법까지 배운다.
볼링 (Bowling)
볼링의 역사, 예절, 경기방법, 스윙 및 스텝 등의 기초기술을 배운다.
생활체육론 (Theory of Sports For All)
생활체육의 개념, 역사적 배경, 대중화 요소, 주체형태에 다른 분류활동에 대상에 따른 분류, 외국의 사회체육 등에 대해서 배운다.
스포츠상해 및 처치 (Sports injury & Treatment)
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와 체육활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상해에 대비하여 안전에 대한 조치법과 응급처치 요령을 익힌다.
골프지도법 (Methods of Instruction of Golf)
골프지도법을 통한 골프의 이해도를 높이고 지도법 수업과 함께 골프의 직업적 가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한다.
골프영상분석법 (Golf Image Analysis)
영상분석의 필요성을 알고 골프스윙의 영상분석법을 배운다. 이 과정을 통해 보다 오서독스한 스윙을 만들어가는 중요한 과정이다.
퍼스날트레이닝 (Personal Training)
관련종목의 보다 완벽한 운동수행을 위한 보조운동이다. 퍼스날트레이닝을 통해 주종목을 수행하는데 있어 부상을 줄임과 동시에 보다 나은 결과를 만들 수 있다.
요가 (Yoga)
요가는 명상과 호흡, 스트레칭 등이 결합된 복합적인 심신 수련 방법을 말한다. 마음을 조절해서 마음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인간 본래의 고요한 마음으로 돌아가는 상태를 만든다.
골프숏게임실습 (Golf Short Game practice)
어프로치, 퍼팅 등 숏게임의 기술적 습득을 통한 상황별 결과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본 과정을 통해 좋은 스코어를 만든다.
골프학개론 (Theory of Golf)
골프의 역사, 경기규칙, 경기방법 등을 배운다.
트레이닝과학 (Training Science)
트레이닝 방법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강의하고. 스포츠의 과학적 방법을 실습한다.
레저스포츠사회학 (Sociology of Leisure Sports)
스포츠 사회학의 일반이론과 본질을 이해하고 현대 사회와 관련된 스포츠의 제반 문제를 파악함으로써 인간사회의 연속 변화와 스포츠의 가치에 대해서 터득하게 한다.
운동처방 및 건강관리 (Exercise Prescription & Health Care)
운동의 개념 및 스포츠의 기초적인 문제와 각 종목별 신체 활동에 관한 전반적인 강의를 한다.
레저레크리에이션론 (Theory of leisure Recreation)
스포츠와 레크리에이션의 관계를 본질적으로 규명하며 현대레크리에이션의 이론과 실기를 습득하며 각 나라의 레크리에이션 현황도 파악하고 나아가 학생들로 하여금 장래 레크리에이션 지도 자로서의 자질을 갖추게 한다.
스포츠심리 및 카운슬링 (Sports Psychology & Counseling)
스포츠 현장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심리적 기전을 조사, 분석하여 운동기능 및 기록을 향상할 수 있는 심리적 요인을 연구한다.
골프스윙의 과학 (Science of Golf Swing)
골프스윙의 과학적 접근을 통한 이해를 높이며 이를 통한 보다 효율적인 스윙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다.